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언리얼] UnrealBuildTool 에러, 내 코드만 에러, 언리얼 폴더 삭제 후 리컴파일 하는 법

by 연지니어스 2025. 3. 28.

UnrealBuildTool 에러, 내 코드만 에러, 언리얼 폴더 삭제 후 리컴파일 하는 법

 

Unreal을 빌드하다 보면 구조체를 수정했는데, 수정 내용이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분명히 수정했는데 바뀌지 않으니 답답할 따름입니다. 코드에 문제는 없는데 이상하게 내부적으로 꼬였을 경우 보통 솔루션 파일(.sln)을 제거하고 Gernerate Visual Studio Project Files를 실행하여 설루션 파일을 재생성 한 뒤 다시 빌드를 돌려보면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했는데도 되지 않는다면 이제는 Binaries폴더, Intermediate폴더, .vs폴더와 Saved폴더를 제거해 보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먼저 해당 폴더들에는 어떤 정보가 저장되는지 알아봅시다.

1. Binaries 폴더

Binaries 폴더는 빌드된 실행 파일과 관련 바이너리 파일들이 저장되는 폴더입니다.

특징

  • 실행 가능한 파일들이 위치합니다.
    • Windows: .exe, .dll 파일
    • Linux: .so 파일
    • Mac: .dylib, .app 파일
  • 플랫폼별로 서브 폴더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 예: Binaries/Win64, Binaries/Linux, Binaries/Mac
  • 에디터와 게임 실행 파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디버그 심볼 파일 (.pdb)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삭제해도 되는 경우

  1. 빌드가 깨졌거나 충돌할 때 클린 빌드를 위해 삭제합니다.
  2. 빌드 결과 파일이 많이 쌓여 용량을 차지할 때 삭제하여 공간을 확보합니다.
  3. 엔진 버전을 업데이트하거나 프로젝트를 업그레이드할 때
  4. 실행 파일에 문제가 있을 때

Binaries 폴더 삭제 후 영향

  • 실행 파일이 사라져서 프로젝트를 바로 실행할 수 없음.
  • 다시 빌드해야 실행 파일이 생성됩니다.
  • 빌드 속도가 처음에 다소 느려질 수 있습니다.

 

2. Intermediate 폴더

Intermediate 폴더는 빌드 중간 파일들이 저장되는 임시 폴더입니다.

특징

  • 코드를 컴파일할 때 생성되는 임시 파일들이 모여 있습니다.
  • Visual Studio 프로젝트 파일이나 PCH 파일(Precompiled Header) 등이 위치합니다.
  • 빌드 캐시와 디버그 정보도 포함됩니다.
  • 플랫폼별로 구분된 폴더 구조를 가집니다.
    • 예: Intermediate/Build/Win64, Intermediate/Build/Linux
  • 언리얼 엔진이 자동으로 관리하며, 필요에 따라 다시 생성됩니다.

삭제해도 되는 경우

  1. 컴파일 중간 파일이 꼬여서 오류나 충돌이 발생할 때
  2. 엔진 버전이나 프로젝트 설정을 변경했을 때
  3. 캐시 파일이 많이 쌓여서 디스크 용량 확보가 필요할 때
  4. 코드 구조나 파일이 대규모로 변경된 경우

 

Intermediate 폴더 삭제 후 영향

  • 다음 빌드 시 컴파일 시간이 증가합니다.
  • 삭제 후에도 문제 없이 빌드가 진행되며, 새로운 중간 파일이 생성됩니다.
  • IDE 설정이 초기화될 수 있으므로 다시 프로젝트를 열어야 할 수 있습니다.

 

3. .vs 폴더

.vs 폴더는 Visual Studio 전용 폴더로,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로 열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특징

  • Visual Studio 환경 설정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 디버깅 구성 파일임시 캐시 파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솔루션 설정컴파일 캐시 정보를 가지고 있어 IDE 사용 시 속도를 높입니다.

삭제해도 되는 경우

  • Visual Studio 프로젝트 설정이 꼬여서 오류가 날 때
  • 디버그나 IntelliSense 관련 오류가 발생할 때

삭제 후 영향

  • Visual Studio를 다시 열 때 다시 생성됩니다.
  • 설정이 초기화되어 일부 사용자 정의 환경 설정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4. Saved 폴더

Saved 폴더는 언리얼 엔진이 런타임 중에 생성하는 임시 파일과 로그 파일 등을 저장하는 폴더입니다.

특징

  • 프로젝트를 실행하거나 에디터에서 빌드할 때 생성됩니다.
  • 로그 파일, 자동 저장 파일, 스크린샷, 크래시 덤프, 패키징 결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삭제해도 되는 경우

  • 디스크 용량 확보가 필요할 때
  • 프로젝트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어 로그 파일이 과도하게 쌓일 때
  • 빌드 오류가 발생하여 캐시를 초기화하고 싶을 때

삭제 후 영향

  • 삭제 후에도 문제없이 다시 실행됩니다.
  • 삭제하면 로그 데이터와 자동 저장 파일이 사라집니다.
  • 다음 실행 시 다시 생성됩니다.

 

폴더를 삭제한 뒤 발생하는 영향을 읽어보고 현재 상황에 맞는 폴더를 지우시기를 권장합니다. 헷갈린다면 위에 소개한 폴더들은 모두 지워도 프로젝트가 실행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니 다 지우셔도 괜찮습니다. 모두 삭제한 뒤에 솔루션 파일을 재생성하고 컴파일을 돌려보면 "UnrealBuildTool.exe의 릴리스 빌드를 디버그하는 중입니다. 컴파일러 최적화를 사용하는 릴리스 빌드와 함께 [내 코드만]을 사용하면 디버깅 성능이 저하됩니다.(예: 중단점이 적중되지 않음)"등의 에러 메시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솔루션 구성을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솔루션 구성 이미지
솔루션 구성 이미지

FpsProject는 제가 만든 프로젝트 명입니다. 위의 폴더들을 제거하면 모든 구성이 초기화될 가능성이 있어 해당 구성이 바뀌어져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구성을 확인하고 다시 컴파일해보면 잘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